우리가 투자를 할 때 분산투자를 해야 할까요 집중투자를 해야 할까요? 어떤 투자자 분들은 분산투자를 해야 한다는 분도 계실 거고 확실한 종목에 집중투자를 해야 한다는 분도 계실 것 같습니다. 물론, 정해진 답은 없지만 어느 정도의 방향성을 갖고 투자를 하는 게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 소액 투자자인데 분산투자? 집중투자?
투자 금액이 많고 자산이 많은 분들이라면 여러 자산에 나누어 분산투자를 할 수 있겠지만, 저같은 직장인 투자자의 대부분은 일부 부동산 등의 안정자산을 보유한 채 여유자금으로 금이나 채권, 주식 등에 투자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분산투자가 좋을까 집중투자가 좋을까에 대한 답은 월가에서도 사실 답을 내지 못하는 난제입니다.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말이 있듯이 한 종목에 모든 걸 투자하는 것은 그만큼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반면 전설적 투자가들은 소수 종목에 거액을 투자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그중 전설적 인물로 알려진 버크셔 해서웨이의 수장들인 찰리멍거, 워렌버핏은 꾸준히 소수의 기업에 집중투자하라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분산이란 건 통상 자기가 뭘 하고 있는지 모르는 사람들에겐 되지 않는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분산이란 건 무지로부터의 방어책입니다.
투자 생에에 있어서 아주 훌륭한 성과를 내는 데에 원더풀 한 기업 3개만 있어도 충분합니다.
다른 회사들과의 경쟁으로부터 잘 견딜 수 있다면 그 3개의 기업이 100개의 평균적인 기업들보다 더 나을 것입니다.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훌륭한 기업을 3개 보유하는 것이 잘 알려진 기업들 50개를 보유하는 것보다 리스크가 덜합니다.
여러분의 일생에 가장 훌륭한 기업 3개만 찾을 수 있다면 여러분은 아주 부유해질 것이고 그 기업들을 이해하고만 있다면 그 기업들로 나쁜 일이 생기진 않을 겁니다.
워런버핏

저는 주식 3개만 보유하고 있어요. 버크셔 해서웨에, 코스트코, 리루의 펀드죠. 나머지는 이것저것들 조금씩.
주식이 3개면 충분하냐고요?
코스트코가 망할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
버크셔 해서웨이가 망할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
리루와 중국이 망할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
셋 중의 하나라도 망할 가능성은 거의 제로에 가깝습니다.
찰리멍거

기업을 분석하고 가치를 매길 수 있다면 자신이 분석한 최고의 소수의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더 현망한 주식투자 방법이라는 걸 알려주고 있습니다. 집중투자를 외치는 유명투자가들은 하나같이 같은 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부를 형성하려면 자신이 잘 아는 기업에 집중투자를 해야 한다고 말입니다. 개인 적으로는 저도 이들의 말에 공감하고 자신이 잘 아는 5개 이하의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 투자에 있어 현명한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자신이 투자한 기업의 주식가격을 확인하는 시간을 기업이 가진 본질을 파악하고 가치를 파악하는 데 더 투자해 보는 건 어떨까 싶습니다. 2022년부터 시작된 하락장이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미 연준은 아직 금리 인상을 끝내지 않았고 오히려 더 올릴수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런 하락장일 수록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점검하고 재 조정하는 것도 기회라고 생각됩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투자에 정답은 없습니다. 누군가 이 기업이 좋다고 주식을 사서 보유하라고 말한다 해도 그 기업에 대한 확신이 없다면 이른 시일 내에 손해보고 팔거나 또는 어느 정도의 수익을 낸 후에 팔아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진정한 장기 투자자라면 자신이 잘 아는 소수의 기업에 투자하고 그 기업의 가치를 자신만의 방법으로 꾸준히 평가하여 길게 보유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투자에 대한 생각은 개인적인 생각이니 참고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스닥 추세전환? 시황분석 (3) | 2023.03.18 |
---|---|
제 2의 리먼사태 올까? (0) | 2023.03.15 |
버크셔 헤서웨이 주식 분석 (Feat. 워렌버핏) (0) | 2023.03.06 |
미국 증시 저점 올까? 환율 다시 1400원 갈까? (4) | 2023.03.03 |
테슬라 주가 흐름 및 인베스터데이 2023 분석 (티커명. TSLA) (3) | 202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