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3 개인연금 한도상향
30대 40대 직장인 투자자라면 개인 투자 외에도 개인연금에도 관심이 있으실 겁니다. 올해 2023년 1월 1일부터는 그 개인연금의 투자 한도가 상향되어 연금계좌 세제혜택이 확대됩니다. 직전 개인연금 저축 4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한도가 상향되었고 IRP 포함 시 700만 원에서 900만 원으로 그 폭이 확대됩니다. 개인연금 저축을 꾸준히 하면서 동시에 연말정산 등 세제혜택까지 챙길 수 있으니 한도 상향은 반가운 소식입니다.

2. 개인연금 미국주식 ETF에 투자하자
개인연금으로도 미국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국내 상장된 ETF 중 미국 지수 주총 ETF인데요. 국내에 상장된 미국 지수 주총 ETF의 종류는 많지만 제가 실제 투자하고 있는 ETF를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바로 Tiger 미국 나스닥 100 ETF와 Tiger 미국 S&P 500입니다. 두 ETF 모두 미래에셋에서 운용하고 있는 미국 지수 추종 ETF로 나스닥 지수와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된 ETF입니다.
두 ETF의 장단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한 종목만 투자할 수 있겠지만 저는 둘 다 미국 주식은 우상향이라는 믿음 아래 거의 유사한 퍼센티지로 양쪽 모두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나스닥의 경우 알고 계시겠지만 변동성이 크고 증시 상황이 좋으면 크게 상승하는 지수 입니다. 그러나 성장주 위주의 종목이 대부분으로 분배금은 적게 나오게 됩니다. 반면 S&P500은 변동성이 작고 증시 상황이 좋을 시 나스닥보다 크게 상승하지는 않으나 분배금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오고 안정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아래는 두 ETF의 가격과 기본정보입니다. 참고하셔서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각자의 투자 성향과 투자 금액에 따라 나스닥에 100% 투자할 수도 있고 S&P 500에 100% 투자할 수도 있겠지만 저는 아래와 같이 유사한 비율로 투자 중입니다. 저는 작년 400만원의 개인연금 세제혜택을 받기 위해 매달 30만 원씩 투자를 이어왔습니다.

1월 말 분배금으로 나스닥100은 주당 65원으로 분배금은 총 1625원(세전)이 입금되었고 S&P500는 주당 40원으로 분배금은 총 5840원(세전)이었습니다. 반면 2월 초 현재 증시가 반등해 있는 상태에서 수익률로만 봤을 땐 나스닥이 훨씬 앞서 있어 서로 장단점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내역을 확인해보니 2022년 약 360만원의 개인연금 투자로 연말정산에서 약 41만원의 세제혜택을 받았습니다.

이렇게 개인연금으로도 미국주식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자녀 계좌 적립식 투자에도 상당한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주식으로 노후도 대비하고 매년 세제 혜택도 받을 수 있으니 미국주식을 좋아하시는 분에게는 1석2조의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 500 ETF 대표 3인방 (SPY, VOO, IVV) (3) | 2023.02.15 |
---|---|
KB증권 이벤트 (모아모아 etf) (1) | 2023.02.14 |
미국 지수추종 ETF (Feat. 워렌버핏) (2) | 2023.02.06 |
미국주식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1) | 2023.02.03 |
주식 매수 매도 보조 지표를 활용하자! (Feat. 테슬라) (0)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