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식 매수와 매도 어떻게 해야 할까
주식 매수와 매도 주식 투자자라면 항상 고민하는 주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지금이 저점 같은데 매수를 해볼까 더 떨어지면 살까? 많이 오른 것 같은데 일부 매도를 할까 매도했는데 더 오르면 어떻게 하지? 와 같은 고민에 빠지게 되는데요. 자신만의 주식 매수 매도 목적에 맞는 기준을 잡고 매매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종목선정, 주식 적정가 산정, 매매 기준 선정 등 주식 매매의 방법은 투자자 각자 다양하고 정해진 정답은 없지만 그중 매매 기준을 정할 때 활용하는 보조 지표들을 알아보겠습니다.
2. 시장 분위기를 살피며 매매하자
시장 분위기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조 지표를 주식 매매에 활용하기 전 주식 시장 매크로 상황이 상승장인지 하락장인지에 따라 자세도 달리하는 게 좀 더 유리합니다. 상승장에서는 보조지표를 볼 때도 상향 평준화 해서 보고 하락장에서는 보조지표를 하향 평준화 해서 보면 더 유리합니다.
아래 그림은 미국 주식 투자자라면 한 번씩은 들어봤을 Fear&Greed 수치입니다. 바로 공포지수인데요 현재 2023년 2월 1일 프리장 기준으로 이 수치는 70을 가리키고 있고 탐욕 구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S&P500의 그래프와 125일 이동 평균선입니다. 이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위치하고 있으면 greed 탐욕구간,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면 Fear 공포구간으로의 진입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생각하면 다른 사람들이 두려움을 느낄 때 주식을 매수하고 탐욕을 느낄 때 매도하면 됩니다. 하지만 초보 투자자라면 한 번쯤은 경험해 보았겠지만 그게 마음같이 쉽게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신만의 확고한 매매 원칙을 정하여 매매하길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 장기 투자자에겐 해당되지 않지만 나는 공포구간에 매수를 해서 탐욕구간에 매도를 하겠다가 아니라 하락장에서는 극도의 공포구간에만 매수를 해서 탐욕구간이 되면 매도를 하겠다라든지 상승장에서는 공포구간에 사서 극도의 탐욕 구간에 팔겠다고 그 기준을 유동적으로 가져가면 됩니다.
공포에 사서 탐욕에 팔아라
fearful when others are greedy, and greedy when others are fearful.
Warren Buffett
앞서 말씀드린 예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렇게 하라고 말씀드리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장기 투자자라면 자신이 매수하려는 종목을 공포구간이든 탐욕구간이든 상관없이 꾸준히 매수하고 보유하는 것이 장기투자에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외에도 put-call 지수 stock price strength 등 보조지표가 많아 좀더 정보를 얻고자 하시는 분들은 구글에 Fear and Greed 로 검색하시거나 아래 링크를 참조로 넣었으니 추가 지표들을 보고 매수 매도를 결정하시면 더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https://edition.cnn.com/markets/fear-and-greed
공포지수와 더불어 많은 투자자들이 주식 매매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지표를 하나 더 살펴보겠습니다. 바로 VIX 지수인데요.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빅스지수는 시장이 하락장으로 요동칠 때 함께 크게 움직이는 지수로 변동성이 정말 클 때는 30 이상을 가리킵니다. 작년 2022년 한해는 이렇게 VIX 지수가 30이상을 가르키는 경우가 많아 어떤 투자자들에게는 주식 매매의 기준이 되었을 거라 생각됩니다. 예를들어 공포지수가 극도의 공포구간에 있고 VIX 지수가 30이상을 가리킬 때만 보수적으로 주식을 매수한다와 같은 기준 말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작년 한 해 공포구간에 진입하면 VIX 지수가 약 30 이상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엔 그 추세가 변한 게 눈의 띕니다. 공포구간에 진입하더라도 VIX 지수가 크게 높아지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다른 포스팅에서 말씀드린 추세변화와 연관이 있습니다. 다우지수의 추세 변화가 이미 발생했고 S&P500의 추세 변화는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공포구간에 진입하더라도 VIX 지수가 크게 상승하지 않는 것입니다.
추세 변화와 관련된 글은 아래 이전 발행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3.01.27 - [주식] - 주식 상승장과 하락장! 2023년은!?
3. 테슬라 그래프 보조 지표 분석
다음으로 그래프 보조지표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그래프 보조지표는 각자 보시는 지표와 기준이 서로 다르고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에 제가 보는 가장 기초적인 보조지표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아래 종목은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미국 주식 중 하나인 테슬라입니다. 최근 많이 빠져서 100달러 근처까지 빠졌다가 현재 172 달러까지 반등에 성공했는데요. 현재 상황은 어떻고 단기적인 예측도 개인적으로 해 보겠습니다.
그래프 메인지표로 볼링저밴드와 이동평균선을 선택해 놓았고 그래프 보조지표로 거래량과 MACD, RSI, CCI를 넣어두었습니다. 메인지표를 먼저 살펴보면 현재 주가는 볼링저 밴드 상단에 위치하고 있고 이동평균선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보조지표로는 거래량이 최근 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주면서 주가도 함께 상승했는데요. 이것은 최근 1월 초까지 온갖 악재로 주가가 하향 곡선을 그리며 빠지다가 매수세가 다시 강하게 들어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정도 거래량이면 그동안 주식을 팔아왔던 사람들이 다시 돌아오고 있다고 봐도 무방해 보입니다.
보조지표를 살펴보겠습니다. MACD는 (+)를 상회하고 있고 RSI는 66을 가리키며 최근 급등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CCI 또한 100 이상을 가리키고 있어 과매수 구간에 진입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메인지표들과 보조지표들만 모두 현재 과도하게 매수 상태에 놓여있는 것을 볼 수 있고 앞으로 단기적으로는 일시 조정을 받을 확률이 높아 보입니다.
그러나 이 지표들은 단기간 주식을 매수 매도를 하는 트레이더들에게 도움이 되겠지만 장기 투자자에게는 그저 한대 지나가는 버스에 불과합니다. 장기 투자자라면 본인이 확신을 가진 주식을 여유 있게 바라보시고 일상생활을 즐기시면서 꾸준히 자신의 기준에 맞게 투자하는 것이 옳은 길이라 생각합니다.
이상 앞서 말씀드린 보조지표들을 유용하게 활용하셔서 주식 매매 시 더 큰 이득을 챙기시길 바랍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지수추종 ETF (Feat. 워렌버핏) (2) | 2023.02.06 |
---|---|
미국주식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1) | 2023.02.03 |
미국주식 매매시 환율을 신경써야할까? (0) | 2023.01.30 |
주식 상승장과 하락장! 2023년은!? (4) | 2023.01.27 |
투자 마인드셋 (1) | 2023.01.25 |